애드센스 전면광고(Vignette) 때문에 한동안 헤맸습니다. 결론은 간단했어요.
티스토리는 ‘제외된 페이지’로 자동광고(전면 포함)를 끄고, 블로그스폿은 자동광고 + 전면 ON으로 운영.
티스토리는 전면광고(비 그 넷)를 쓰지 않는 방향으로 운영하고, 대신 블로그스폿에서는 전면을 켜고 자동·수동을 병행했습니다. 이 글은 정리한 기록입니다.
이 글은 초보 입장에서 제가 플랫폼 정책을 지키면서 애드센스 전면을 분리 운용하기 위해 제 경험을 적용한 과정을 기록한 경험 공유입니다.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내ID
목적: 티스토리 메인 + 티스 하위 블로그에서 Auto ads(전면/앵커/사이드레일/인페이지 자동) 전부 끄기
경로: AdSense ▸ Ads ▸ 티스토리 메인 도메인주소 (연필모양 클릭) ▸ 제외된 페이지
아래 URL들을 각각 **추가 → ‘이 섹션의 모든 페이지’**로 선택:
아래 URL들을 각각 **추가 → ‘이 도메인의 모든 페이지’**로 선택:
주의: 이 방식은 전면만이 아니라 자동광고 전체를 끕니다(본문 인페이지 자동 포함). 티스토리에서 광고를 보이고 싶으면 수동 슬롯만 사용하세요.
경로: AdSense ▸ Ads ▸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연필)
로더는 <head>에 1회만, 각 자리에는 영역 코드만 넣습니다.
상단(Responsive 배너)
<div style="margin:20px 0;">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data-ad-client="ca-pub-내ID"
data-ad-slot="상단_슬롯번호"
data-ad-format="auto"
data-full-width-responsive="true"></ins>
<script>(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script>
</div>
중간(In-article)
<div style="margin:20px 0;">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text-align:center;"
data-ad-format="fluid"
data-ad-layout="in-article"
data-ad-client="ca-pub-내ID"
data-ad-slot="중간_슬롯번호"></ins>
<script>(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script>
</div>
하단(Multiplex)
<div style="margin:20px 0;">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data-ad-format="autorelaxed"
data-ad-client="ca-pub-내ID"
data-ad-slot="하단_슬롯번호"></ins>
<script>(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script>
</div>
이 글은 초보의 시선에서, 티스토리는 전면 OFF(자동광고 제외), 블로그스팟은 전면 ON으로 분리 운영한 과정을 기록한 경험담입니다. 강사님들의 조언과 함께 GPT와의 정리가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책 준수와 사용자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티스토리에서는 가이드를 따라 전면을 끄고 수동으로 최소한의 광고만 배치했고, 블로그스팟에서는 자동광고를 적극 활용하되 밀도와 빈도를 조절했습니다.
모든 환경이 같지 않기에 결과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 작은 실마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읽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블로그스팟의 하위 도메인에서도 전면광고가 정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첫 단계는 무사히 통과했네요. 😊
업데이트: 2025-09-11